![[Web] TCP의 기본 개념](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Sv3Rb%2FbtsEwGBS9eV%2FAAAAAAAAAAAAAAAAAAAAALpJQU1O72XrxeaeVmJKtsscJ0gsd4iGa-zdQm79oE2z%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39739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sj81ufQ7W43Bmjc11DXggPlGx0E%253D)
[Web] TCP의 기본 개념CS/Web2024. 2. 3. 22:10
Table of Contents
배경
데이터를 패킷 교환 방식으로 전달하는데,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중간에 사라지는 패킷이 생긴다는 문제입니다.
이 말은 즉 고양이 사진을 요청했는데 고양이 뒤에 있는 배경이 안보이거나 고양이 귀가 사라진것과 같습니다.
이러한 오류를 감지하고 해결해 데이터가 온전히 전송될 수 있게 하는 프로토콜이 바로 TCP입니다.
TCP란(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신뢰성 있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신뢰성 있는 통신이란 언제 어디서든 데이터를 온전히 가져다줄거라는 믿음이 있는것과도 같은 말입니다.
헤더와 플래그
모든 프로토콜은 데이터의 앞에 헤더라는 정보를 추가해 전송합니다. 헤더 안에는 해당 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담겨져있는것이죠
조금 더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택배 상자에 붙어 있는 운송장 스티커로 볼 수 있습니다.
내가 받고자 하는 물건은 택배 상자 안에 들어있는게 맞지만 이 택배가 어디에서 어디로 보내는지, 또 운송장 번호는 몇번인지 등 물건을 배송할 때 필요한 정보는 운송장 번호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데이터를 전달하는데 있어서 헤더는 꼭 필요한 구성입니다.
헤더는 프로토콜마다 조금씩 다른 형태와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플래그란 패킷의 상태를 알리는 목적의 헤더 정보를 뜻합니다
'CS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 HTTP 요청 메서드 (0) | 2024.02.04 |
---|---|
[Web] IP의 기본 개념 (2) | 2024.02.04 |
[Web] HTTP의 기본 개념 (3) | 2024.02.04 |
[Web] URL의 기본 개념 (2) | 2024.02.03 |
[Network] 네트워크의 기본 개념 (0) | 2024.02.03 |
@VOGUE coding :: CODE의 미학
IT에 관한 모든 것을 공부하고, 설명합니다. Study and explain everything about IT.
포스팅이 좋았다면 "구독👍🏻" 해주세요!